
주요 이슈
- 경기 침체 없는 연착륙 기대
- 시간당 임금 상승률 전월 대비 0.3%(정확히는 0.27%), 전년 대비 4.6% 상승 => 연착륙에 대한 기대가 커짐
- 댄 나일스(사토리 펀드): 경기 침체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지수는 작년 10월이 저점(-25%)이었을 확률이 높다(보통 베어마켓은 -30% 미만)
- 중국 기술기업 단속 끝? 기대
- 궈수칭 은행보험감독관리위 주석 "14개 플랫폼 기업의 금융업 특별정리를 완료했다"
- 뉴욕 연방은행 12월 소비자 설문조사 1년 인플레이션 전망 전월보다 0.2% 하락
- 5% 집계, 2021년 7월 이후 최저 수준
- 12월 CPI(소비자물가지수) 하락 예측
- 웰스파고: 12월 헤드라인 CPI는 전월 대비 0.2% 하락, 전년 대비 6.3% 예측
- 골드만삭스: 헤드라인 CPI 전월 대비 0.06% 하락 예측
- Fed 위원 연설
- 라파엘 보스틱(애틀랜타 연은 총재): 기준 금리 5~5.25%, 2024년까지 유지, 피봇 예측하지 말 것
- 메리 데일리(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): 12월 임금 데이터 하나로는 승리를 선언할 수 없고, 금리 인상 중단 시기상조
시장금리 / 유가
- 국채 10년 물은 -2.4bp, 3.536%
- 국채 2년 물은 -4.2bp, 4.211%
- 달러 인덱스는 -0.67%, 103.18pt
- 원/달러 환율: 1,230원
- WTI +1.17%, 74.63달러
특징주
- 대형 기술주
- 테슬라 +5.93%, 아마존 +1.49%, 애플 +0.41%
- NVIDIA +5.18%, 유니티 +7.27%
업종별 특징
- IT가 1.09% 오르면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, 그다음으로 유틸리티와 소재가 강세를 나타냈습니다. 반면 헬스케어, 필수소비재는 시장 대비 부진했습니다.

변동성 지수 및 공포와 탐욕 지수


'재테크 > 시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.01.11(수) 글로벌 증시 요약 / 드디어 오늘 밤! (3) | 2023.01.12 |
---|---|
2023.01.10(화) 글로벌 증시 요약 / 상반기 랠리? (4) | 2023.01.11 |
2023.01.06(금) 글로벌 증시 요약 / 골디락스? (3) | 2023.01.09 |
2023.01.05(목) 글로벌 증시 요약 / Fed와 펀더멘털과 싸우지 말라 (2) | 2023.01.06 |
2023.01.04(수) 글로벌 증시 요약 / 강한 고용, 마소는? (3) | 2023.01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