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주요 이슈
- 경기 전반의 수요 둔화, 경기 침체 우려에 따른 하락
- 애플, 테슬라 큰 폭의 하락
- 테슬라 / 22년 4분기 차량 인도량 예상치 미달
- 애플 / 일부 공급업체에 부품 생산량 축소 요청 소식
- S&P Global 22년 12월 제조업 PMI(구매관리자지수) 발표
- 46.2로 11월 47.8 보다 낮음
- 2달 연속 위축세, 2년 7개월만 가장 낮은 수치
- 신규 주문은 2007년 6월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떨어짐 → 경기 침체 자극 → 유가 하락 → 안전자산 "금" 가격 상승
- 전 뉴욕 연방은행 빌 더들리
- 미국의 경기 침체에 빠질 것 같다. 왜냐하면 Fed가 할 일이 그것
- 따라서 경기 침체에 빠지더라도 빨리 빠져나올 수 있다. 왜냐하면 Fed가 통화정책완화를 통해 끝낼 수 있다.
- Fed가 인플레이션 통제하는데 중대한 세 가지 위험
1) 경제 성장이 예상보다 더 지속될 수 있다.(23년 미국 정부 예산, 국방비 전년비 10% 상승, 일반 소비 6% 상승)
2) 통화정책이 성장을 억제할 만큼 충분히 긴축적이지 않을 수 있다.(5% 로 부족..)
3) 시장과 Fed는 상품 물가 하락에 지나치게 매혹될 수 있다.(상품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. 노동시장, 금융여건, 정치적 상황을 고려해야 함)
- Fed와 시장은 sticky 한 인플레이션 요인인 노동 시장과 임금 상승률에 주시해야 한다.
시장금리 / 유가
- 국채 10년 물은 11bp 하락, 3.78%
- 국채 2년 물은 4bp 하락, 4.38%
- 달러 인덱스는 1.08% 상승, 104.6pt
- 원/달러 환율: 1,279원
- WTI 4.15% 하락, 79.9달러
특징주
- 대형 기술주
- 애플 37.4% 하락, 테슬라 12.24% 하락
- 메타 3.7% 상승, 아마존 2.2% 상승
- 중국 및 홍콩 리오프닝에 따른 라스베가스 샌즈, 윈 리조트 상승 지속
업종별 특징
- 업종별로 살펴보면 메타가 포함된 커뮤니케이션 섹터가 1.39% 오르면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 그다음으로 금융과 부동산이 상대적 강세를 나타냈습니다. 반면 에너지와 IT, 그리고 경기소비재는 부진했습니다.

변동성 지수 및 공포와 탐욕 지수


'재테크 > 시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.01.05(목) 글로벌 증시 요약 / Fed와 펀더멘털과 싸우지 말라 (2) | 2023.01.06 |
---|---|
2023.01.04(수) 글로벌 증시 요약 / 강한 고용, 마소는? (3) | 2023.01.05 |
2022.12.27(화) 글로벌 증시 요약 / 테슬라 어디가니.. (1) | 2022.12.28 |
2022.12.22(목) 글로벌 증시 요약 / BOJ 한 번 더? (2) | 2022.12.23 |
2022.12.20(화) 글로벌 증시 요약 / BOJ YCC 엔캐리? (3) | 2022.12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