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주요 이슈
- 이번 주 11월 CPI 발표 및 12월 FOMC 회의를 앞두고, 지난주 약세에 따른 반발 매수 및 11월 CPI 예측치에 따라 매수세 유입
- 뉴욕 연준이 발표한 11월 소비자 1년 예상 인플레이션은 전년비 5.2%를 기록, 전월보다 0.7% 하락
- 전일 미시간 대학교에서 발표한 소비자 기대 인플레이션 역시 4.6%로 2021년 9월 이래 최저
- FTX의 SBF 바하마에서 체포

- 11월 CPI 예측치

시장금리 / 유가
- 국채 10년 물은 3.5bp 상승, 3.61%
- 국채 2년 물은 4bp 상승, 4.38%
- 달러 인덱스는 0.2% 상승, 105pt
- 원/달러 환율: 1,307원
- WTI 3% 상승, 73.17달러
특징주
- 마이크로소프트 2.9% 상승, 애플 아마존 1.6% 상승
- 메타 1.0% 하락, 테슬라 6.3% 하락
- 리비안 / 벤츠와 협업 무산으로 6.2% 하락
- 언더아머 / 투자의견 상향에 따른 10.1% 상승
- 보잉 / 대규모 항공기 수주 3.8% 상승
업종별 특징
업종별로 살펴보면 전 섹터가 상승한 가운데 에너지가 2.49% 오르면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 그다음으로 유틸리티와 IT가 상대적 강세를 나타냈습니다. 반면 경기소비재와 커뮤니케이션, 그리고 부동산은 시장 대비 오름폭이 제한됐습니다.

변동성 지수 및 공포와 탐욕 지수


728x90
반응형
'재테크 > 시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.12.14(수) 글로벌 증시 요약 / 12월 FOMC, 산타 랠리는 어디로? (4) | 2022.12.15 |
---|---|
2022.12.13(화) 글로벌 증시 요약 / 11월 CPI 7.1%(YoY) 그런데.. (1) | 2022.12.14 |
2022.12.09(금) 글로벌 증시 요약 / 11월 PPI 악재, 중국 리오프닝 (2) | 2022.12.12 |
2022.12.08(목) 글로벌 증시 요약 / 관망세 (2) | 2022.12.09 |
2022.12.07(수) 글로벌 증시 요약 / 푸틴 '핵무기 사용 언급' (3) | 2022.12.08 |